바다식목일(5.10)
  • 시민환경교육센터
  • 2023-04-25
  • 조회수 : 927

바다사막화는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키고 해양 생태계 균형을 파괴한다!


510일은 바다식목일입니다. 바다식목일은 바닷속 생태계의 중요성과 황폐화의 심각성을 국민에게 알리고 범국민적인 관심 속에서 바다숲 조성을 기념하는 법정기념일입니다

바다숲이란 무엇일까요? 바다숲은 다시마 등 해조류나 해초류가 무리 지어 살고 있는 해역을 지칭합니다

이는 해초류가 번식하여 자라난 모습을 육지의 에 비유하여 지은 이름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바다숲이 중요한 이유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는데요

첫 번째로 바다숲은 바다의 오염물질을 정화합니다. 도시의 숲이 우리에게 필요한 산소를 만들어 주는 동시에 미세먼지를 흡수하고 소음을 감소시켜 주는 것처럼 

바다숲도 바닷물에 있는 부영양 물질(질소, )과 중금속 등 오염물질을 걸러내 수질을 깨끗하게 정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로 바다숲은 바다생물의 서식처인 동시에 중요한 먹이원입니다. 해조류나 해초류는 바다생물의 주요 먹이원이자 생육장이기 때문에 사라진다면

해양생태계와 해양 생물다양성 측면에서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세 번째로 바다숲은 산소를 만들고 탄소를 흡수하는 블루카본입니다

이러한 바다 숲, 즉 바다 식물이 탄소를 저장하는 능력은 육상식물의 50배나 이른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합니다. 여기서 블루카본이란, 바다와 습지 등 해양 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를 뜻합니다

블루카본은 2009년 국제자연연맹 보고서에서 처음 등장한 개념인데 탄소의 흡수 속도가 그린카본보다 최대 50배 이상 빠르고, 탄소 저장에도 용이해 최근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렇듯 바다숲은 환경 측면으로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최근 여러 가지 이유로 바다사막화현상이 가속화하고 있다고 합니다. ‘바다사막화란 무엇일까요?

바다사막화는 백화현상 혹은 갯녹음이라고도 부르며 바닷물에 녹아있던 석회 가루가 바닷속 바위 혹은 생물들에게 달라붙어 하얗게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바다사막화가 심화하면 바다에서 살아가고 있는 해조류(바다숲) 등이 감소하고 해조류를 먹잇감으로 하는 생물들에게 영향을 미치게 되어 해양생태계 전체가 위협받게 됩니다

바다사막화의 원인은 지역별, 해역별로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기후변화, 육상오염물질 유입, 해양 생물다양성 파괴 등이 있습니다. 첫 번째로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 온도 상승과 해양 산성화입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 온도 상승은 바닷물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낮아지게 되고 탄산칼슘이 녹지 않아 해저 바닥과 바위에 달라붙게 됩니다

이는 바다사막화 현상의 원인이 되어 석회질로 덮인 바위 때문에 해조류가 뿌리를 내리지 못하게 되고 자연스레 해조류를 먹이로 하는 바다생물의 수는 감소하게 된다고 합니다

또한 해양 산성화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가 해양에 흡수되면서 해수의 수소이온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pH가 낮아지게 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바다는 산업혁명 이후 인간 활동으로 배출된 이산화탄소의 4분의 1 이상을 흡수하면서 지구온난화를 완화하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이 과정에서 산업화 이전 해수의 pH보다 무려 100배가량 산성화되었다고 합니다

해양 산성화는 식물플랑크톤의 생산력 변화나 석회화 생물들의 다양성이나 개체수 감소, 극피동물, 갑각류, 해조류 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결국 바다사막화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두 번째는 육상오염물질입니다. 이는 양식장에서 나오는 약품, 양돈 농가에서 발생하는 분뇨, 농장에서 나오는 비료, 또는 항구와 방파제의 콘크리트나 

토양을 중화시키기 위해 사용한 석회가 빗물을 통해 바다로 유입되는 경우 등 다양한 육상오염물질이 바닷속의 탄산칼슘의 양을 증가시키는 바다사막화 현상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세 번째는 해양 생물다양성의 파괴입니다. 독도의 사례를 살펴볼까요? 독도는 먹이사슬이 깨져 해조류를 먹이로 하는 성게 같은 조식 동물의 수가 늘어나게 되면서

바위 위의 해조류로 이루어진 바다숲이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사례로, 북미 태평양 연안에 살던 해달이 1700년대부터 인간의 사냥 때문에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그러자 해달의 먹이인 성게가 급증하게 되었고 성게는 다시마를 포함한 모든 해조류를 먹는 왕성한 식욕을 가지고 있는 조식 동물입니다

늘어난 성게들이 해조류 줄기를 계속 먹으면서 이 지역에는 바다숲이 점차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바다사막화의 다양한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그렇다면 이러한 바다숲을 지키고 보전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먼저 바다사막화 발생 원인에 대해서 지역별, 해역별로 정밀 조사가 필요합니다. 정밀 조사를 진행하려면 해양 생태 연구에 대한 지원이 늘어야 하는 등 현재 등한시되는

기초과학 연구를 활성화할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또한 화학 비료의 절감, 연안 시멘트 구조물 철거, 양식장 배출수, 하수종말처리장 등 육상오염물질 유입 방지 대책을 세우고 

바닷속 생태계의 중요성과 황폐화의 심각성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을 갖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입니다.

 

참고자료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 volumeNo=34555294&memberNo=5673438&vType=VERTICAL

[환경교육포털] https://www.keep.go.kr/portal/141? action=read&action-value=f08f9416c4d17f7fad70d6a95ba1a4f8&search_word=%EB%B0%94%EB%8B%A4%EC%82%AC%EB%A7%89%ED%99%94&tags=%EC%86%8C%EC%9D%8C%2C%ED%8F%90%EA%B8%B0%EB%AC%BC+%EB%B0%8F+%EC%9E%90%EC%9B%90%EC%88%9C%ED%99%98%2C%ED%99%98%EA%B2%BD%EB%B3%B4%EA%B1%B4%2C%EB%AC%BC%2C%ED%86%A0%EC%96%91%2C%EC%83%9D%ED%83%9C%EA%B3%84%2C%EA%B8%B0%ED%9B%84%EB%B3%80%ED%99%94+%EB%B0%8F+%ED%83%84%EC%86%8C%EC%A4%91%EB%A6%BD%2C%EB%8C%80%EA%B8%B0%2C%EC%97%90%EB%84%88%EC%A7%80%2C%EC%A7%80%EC%86%8D%EA%B0%80%EB%8A%A5%EB%B0%9C%EC%A0%84%2C%EC%83%9D%EB%AA%85%EC%9C%A4%EB%A6%AC%2C%EA%B8%B0%ED%83%80&search_field=ALL

[세계일보] https://www.segye.com/newsView/20221003508015

[한국수산자원공단] https://www.fira.or.kr/fira/fira_010201_2.jsp? mode=view&article_no=1913&board_wrapper=%2Ffira%2Ffira_010201_2.jsp&pager.offset=640&board_no=7

[울산항만공사 공식 블로그] https://blog.naver.com/ulsan-port/222828003592

[한국수산자원공단 공식 블로그] https://blog.naver.com/fira_sea/222911836069

[대한민국 기상청 대표 블로그:생기발랄] https://blog.naver.com/kma_131/222784109127

[환경교육포털] https://www.keep.go.kr/portal/141? action=read&action-value=f08f9416c4d17f7fad70d6a95ba1a4f8&search_word=%EB%B0%94%EB%8B%A4%EC%82%AC%EB%A7%89%ED%99%94&tags=%EC%86%8C%EC%9D%8C%2C%ED%8F%90%EA%B8%B0%EB%AC%BC+%EB%B0%8F+%EC%9E%90%EC%9B%90%EC%88%9C%ED%99%98%2C%ED%99%98%EA%B2%BD%EB%B3%B4%EA%B1%B4%2C%EB%AC%BC%2C%ED%86%A0%EC%96%91%2C%EC%83%9D%ED%83%9C%EA%B3%84%2C%EA%B8%B0%ED%9B%84%EB%B3%80%ED%99%94+%EB%B0%8F+%ED%83%84%EC%86%8C%EC%A4%91%EB%A6%BD%2C%EB%8C%80%EA%B8%B0%2C%EC%97%90%EB%84%88%EC%A7%80%2C%EC%A7%80%EC%86%8D%EA%B0%80%EB%8A%A5%EB%B0%9C%EC%A0%84%2C%EC%83%9D%EB%AA%85%EC%9C%A4%EB%A6%AC%2C%EA%B8%B0%ED%83%80&search_field=ALL

[환경일보] http://www.hkbs.co.kr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블로그] https://blog.naver.com/kordipr/222918751297

[해양수산부 공식블로그] https://blog.naver.com/koreamof/222337959827

[환경일보] http://www.hkbs.co.kr

[뉴스펭귄] https://www.newspenguin.com

[녹색연합] https://www.greenkorea.org/activity/ecosystem-conservation/%ed%95%b4%ec%96%91/9418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