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사막화는 과도한 '목축’으로 인해 발생한다!
6월 17일은 '사막화 방지의 날'입니다.
국제 사회에서는 1970년대 초반부터 사막화의 심각성을 깨닫고 대책을 논의하였습니다.
이후 1994년 6월 17일에 프랑스 파리에서 기상이변과 사막화를 겪고 있는 국가들의 사막화를 방지하여 지구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사막화방지협약을 맺었습니다.
그리고 1994년 제29차 국제연합총회에서는 사막화방지협약을 맺은 날을 기념하고자 매년 6월 17일을 '사막화 방지의 날'로 지정했습니다.
사막화란 무엇일까요?
먼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사막'은 날씨가 더워 증발하는 물의 양보다 내리는 비의 양이 적어 땅이 모래로 바뀌어 아무것도 살지 못하게 된 곳으로, 지구 고유의 환경입니다.
그러나 '사막화'는 원래 사막이 아니었던 곳이 자연적 요인 또는 인위적 요인에 의해 기존에 사막이 아니던 곳이 점차 사막으로 변해가는 현상입니다. 즉 토지가 황폐해지는 것입니다.
지금 세계에서 진행되는 사막화는 자연적인 원인으로 형성된 경우는 20% 정도이지만, 나머지 80%는 인간에 의해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인간에 의해 이루어진 사막화의 원인으로는 인구 증가, 대규모 경작 농업, 화전, 벌채, 목축, 도시화 등이 있고 이산화탄소 증가로 인한 기후변화도 사막화를 촉진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토지의 황폐화, 사막화가 일어나게 되면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요?
어떤 한 지역이 사막이 된다면, 그곳에서 특별한 기술 없이 농사를 짓는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이러한 사막 지역에는 농사를 지을 수 없기 때문에 먹을 수 있는 음식은 점점 부족해져서 기아와 빈곤 문제가 발생할 것입니다.
또한 어떤 지역이 사막이 되기 시작하면, 동물과 사람들은 그 지역을 떠나 다른 지역으로 갈 것입니다. 이른바 '환경난민'의 증가입니다.
사람들이 이주한 지역은 인구 증가로 인해 사막화가 가속화되어 악순환으로 치닫습니다.
이 외에도 수질오염, 물 부족, 홍수, 생물다양성 감소, 전염병 증가, 미세먼지 등 다양한 요인이 사막화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현재 사막화가 진행되고 있는 나라들은 아프리카, 중국, 몽골 등 다양한데요. 우리나라 또한 사막화의 위험에서 안전하지 않다고 합니다.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연구팀에 의하면, 서울과 주변 지역을 비교했을 때 2000년대 이후 서울 지역의 건조화 경향이 주변 지역보다 강하게 나타났다고 합니다.
사막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는 나라 중 몽골의 사례를 살펴보면 몽골은 캐시미어 생산을 위해 정부에서 염소 방목을 장려하였는데요.
과도한 캐시미어 산업의 장려로 인하여 '몽골의 목축'이 토지 황폐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습니다.
이 외에도 몽골은 '기후변화'에 가장 큰 후폭풍을 맞은 나라로, 지난 60년 간 세계 평균기온이 0.7도 상승하는 동안 몽골은 무려 2.1도가 올랐다고 합니다.
그로 인해 1990년대까지만 해도 몽골 전체 면적의 40%를 차지하던 사막은 78%까지 확대되었습니다.
이렇듯 몽골의 사막화에는 기후변화, 캐시미어 산업 등 다양한 요인이 원인으로 지목되었습니다.
급속도로 사막화가 진행되고 있는 몽골에서는 '환경난민'의 증가 또한 어마어마합니다.
이러한 몽골의 사막화는 우리나라에 미세먼지 미사일로 돌아오기 때문에 사막화를 막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과 개인의 실천이 중요합니다.
사막화를 위한 국제적인 노력으로는 위에서 언급한 유엔사막화방지협약이 있습니다.
유엔사막화방지협약은 기후변화협약, 생물다양성협약과 함께 유엔 3대 환경협약으로, 무리한 개발과 오남용으로 인한 사막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채택된 협약인데요.
사막화가 남의 나라 일이 아닌 만큼 사막화방지협약에는 '선진국 당사자들이 피해 개도국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하며, 실질적인 규모의 자금과 원조 제공,
사막화 방지 기술 습득 조장 및 촉진 등의 의무'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유엔사막화방지협약의 가입국인 우리나라에도 사막화를 막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는데요.
몽골에서의 조림 사업 또는 환경난민들을 위한 임 농업교육 등 다양한 형태로 사막화 예방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사막화를 방지하기 위해 개인이 노력할 수 있는 부분은 무엇이 있을까요?
첫 번째, 기후변화 대응 실천하기입니다.
사막화와 기후변화는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실천을 지속한다면 사막화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채식하기,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에너지 절약하기 등이 있습니다.
두 번째, '푸른아시아', '에코피스아시아' 등 사막화가 진행 중인 지역에 나무와 풀을 심는 환경 단체 후원하기입니다.
사막화가 진행 중인 지역에 조림 활동을 활발하게 진행하는 단체에 후원한다면, 사막화 방지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세 번째, 유기농업이나 탄소농업으로 재배된 친환경 농산물을 소비하는 것입니다.
지금의 농업 방식은 토양을 죽이고 사막화와 기후변화를 가속하는 방식입니다.
최근에는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하여 유기농업이나 탄소농업을 기후변화와 사막화의 대안으로 이야기하고 있는데요.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된 친환경 농산물을 먹는 것은 곧 지속가능한 농업을 지지하는 소비 투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
Mongolian desertification is caused by excessive 'grazing'!
June 17th is 'World Day to Combat Desertification and Drought'.
Since the early 1970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realized the seriousness of desertification and has been discussing countermeasures.
Afterwards, on June 17, 1994, in Paris, France, an agreement was signed to prevent desertification in countries experiencing extreme weather and desertification to protect the global environment.
And in 1994, the 29th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designated June 17 as the 'Desertification Prevention Day' every year to commemorate the signing of the Convention for the Prevention of Desertification.
What is desertification?
First of all, the 'desert' as we commonly know it is a place where nothing can live in the desert because the weather is hot and the amount of rain that falls is less than the amount of water that evaporates.
However, 'desertification' is a phenomenon in which a place that was not originally a desert gradually turns into a desert due to natural or man-made factors.
In other words, the land is desolate.
Currently, about 20% of desertification in the world is caused by natural causes, but the remaining 80% is caused by humans.
Human-made causes of desertification include population growth, large-scale farming, slash-and-burn, logging, livestock, and urbanization.
If so, what effect will it have on us when land degradation or desertification occurs?
If an area becomes a desert, it is almost impossible to farm there without special skills.
Since there is no farming in these desert areas, there will be an ever-increasing shortage of food, leading to hunger and poverty.
Also, when an area begins to become a desert, animals and people will leave the area and go to other areas. This is an increase in so-called 'environmental refugees'.
In areas where people have migrated, population growth accelerates desertification, leading to a vicious cycle.
In addition to these, various factors such as water pollution, water scarcity, flooding, loss of biodiversity, increase in infectious diseases, and fine dust are linked to desertification.
There are various countries that are currently undergoing desertification, such as Africa, China, and Mongolia. It is said that Korea is also not safe from the danger of desertific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team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when comparing Seoul and surrounding areas, the drying trend in Seoul since the 2000s was stronger than in surrounding areas.
Looking at the case of Mongolia among countries where desertification is rapidly progressing, the government encouraged goat grazing for cashmere production.
Due to excessive promotion of the cashmere industry, 'Mongolian cattle ranching' has had the greatest impact on land degradation.
In addition to this, Mongolia is the country that has suffered the biggest aftermath of 'climate change'. During the past 60 years, the average global temperature has risen by 0.7°C, while Mongolia has risen by a whopping 2.1°C.
As a result, the desert, which occupied 40% of Mongolia's total area until the 1990s, expanded to 78%.
As such, various factors such as climate change and the cashmere industry have been blamed for the desertification of Mongolia.
In Mongolia, where desertification is rapidly progressing, the increase in 'environmental refugees' is also enormous.
Since Mongolia's desertification returns to Korea as a fine dust missile, international efforts and individual practice to prevent desertification are important.
International efforts for desertification include the above-mentioned United Nations Convention against Desertification.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against Desertification is one of the United Nations' three major environmental conventions along with the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and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As desertification is not another country's business, the Convention on the Prevention of Desertification states, 'Parties from developed countries should actively support the activities of affected developing countries, provide substantial funds and aid,
Duty to encourage and promote the acquisition of technologies to prevent desertification'.
Korea, which is a signatory to the UN Convention on the Prevention of Desertification, is also carrying out various activities to prevent desertification.
We are making efforts to prevent desertification in various forms, such as afforestation projects in Mongolia or forestry education for environmental refugees.
So, what can individuals do to prevent desertification?
The first is to practice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Since desertification and climate change are closely related, desertification can be prevented if we continue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Specifically, reducing food waste, becoming vegetarian, reducing plastic use, and saving energy.
Second, we support environmental groups that plant trees and grass in areas undergoing desertification, such as 'Green Asia' and 'Ecopeace Asia'.
If you donate to an organization that is actively carrying out reforestation activities in an area where desertification is taking place, it can help a lot in preventing desertification.
The third is to consume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grown through organic or carbon agriculture.
Today's agricultural practices are killing the soil and accelerating desertification and climate change.
Recently, organic farming and carbon farming are being talked about as an alternative to climate change and desertification for sustainable agriculture.
Eating eco-friendly produce produced in this way can be seen as a consumer vote in support of sustainable agriculture.
참고 자료
[환경교육포털] 에코스토리_와글와글 세계 어린이 환경 뉴스< 교육자료 < 자료실 : 환경교육포털 (keep.go.kr)
[네이버 지식백과] 사막화 (naver.com)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알아두면 쓸모있는 환경이야기] 메마른 지구에 물을! 사막화 방지의 날! : 네이버 포스트 (naver.com)
[국립생물자원관] 사막화 방지의 날! 더 이상의 사막화를 막아요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SBS NEWS] 서울대 연구팀 "서울, '도시 사막화'가 진행되고 있다" | SBS 뉴스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캐시미어가 몽골 사막화를 만든다?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한국환경공단] 기후변화로 인한 몽골의 사막화, 우리의 노력은?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네이버 지식백과] 유엔사막화방지협약 (naver.com)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공식 블로그] 취준생 필수 환경 시사상식 #7. 국제 환경 협약 – 사막화방지협약 편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